부산동별유래 중구1

부산동별유래 중구1 소개

안녕하세요.
부산 풀싸롱입니다.

오늘은 부산동별유래중에서 중구의 연혁과 광복동과 남포동의 유래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산동별유래 중구1

연혁

중구지역은 배산임해의 지형으로서 평지가 적은 곳이다. 삼한시대에는 변한에 소속되었다가
거칠산국(居漆山國)에 편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후 거칠산국이 신라에 정복되면서 거칠산군으로
편재되었고, 대증현이 설치되었다. 중구지역은 위치로 보아 대증현에 소속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후 통일신라 시기에는『삼국사기』지리지에 의하면, “대증현은 신라 경덕왕 때 동평현으로 개명되었다”
고 하고 있으므로 동평현에 속했다고 할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고려 현종 12년(1021) 지방제도의 개편으로 동래군이 동래현으로 강등되어 울주군에
영속되자, 동평현도 양주군에 영속되었으므로 중구지역은 양주의 관리하에 있었다.

그러나 중구는 조선시대 이전의 거주민의 활동을 전하는 역사적인 기록을 찾을 수 없다.
조선 태종대부터 부산포(현 부산진시장 일대)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 왜관이 설치되었는데,
중구지역에는 선조 40년(1607)에 두모포(현 수정동 일대)에 설치되었던 왜관이 숙종 4년(1678)
초량(현 용두산 일대) 지역으로 이건하여 초량왜관이 설치되면서 한일교류의 중심으로 성장하였다.
조선시대에 이들 지역은 동래부의 동평면 해정리(海丁里)의 일부와 사천면 하단의 신초량리 일대가
이른바 초량왜관의 자리였다.

1876년 제국주의에 의한 근대개항으로 종전의 왜관은 일본인의 전관거류지, 조계지로 전환하였다.
그리고 일제의 강점으로 이 지역은 1914년 무렵 종전의 동래부에서 부산부의 관할지역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중구지역이 일대 확장과 부산의 중심지로 기능을 하게 된 계기는 이 시기의 매축공사였다. 이로 말미암아 부산 중구에 북항과 남항의 근대적인 항구로 바뀌면서 부산항은 비로소 무역 항구로서의
기능을 하게 되었다. 이 지역을 중구라고 부르게 된 것은, 1951년 구제 실시를 전제로 6개의 출장소가
설치될 때 부산의 중심부에 위치한다하여 중부출장소라 하였던 데서 비롯된다.

이때 중부출장소가 관할하게 된 동수는 14개였다. 그후 1956년 부산시 조례개정에 의해 중부출장소
관할 부평1, 2동을 부평동으로 통합하였고, 광복동․창선동․신창동의 3개동을 광복동에 병합함으로써
10개동으로 줄어들었고, 1957년 구제(區制)실시에 따라서 중구로 개칭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지역은 부산광역시 16개 구·군 가운데 그 행정구역이 가장 좁으면서도 국제시장․자갈치시장 등의
상가와, 수출입 화물선과 국내외 여객선이 쉴새없이 드나들고 있는 부산항의 중심지이자 국가경제의
전략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해상운송만의 전진기지라 할 수 있고, 부산에서도 가장 많은 금융기관,
남포동을 중심으로 한 부산상권의 중심지로서 유행과 멋을 창조․선도하는 패션의 진원지이다.
현재 중구의 관할 동은 중앙동․동광동․대청동․보수동, 부평동․광복동․남포동․영주동 등이 있다.

부산동별유래 중구1 광복동

광복동(光復洞)은 숙종 4년(1678)에 두모포왜관에서 이건된 초량왜관이 고종 13년(1876)「병자수호조규(강화도조약)」가 체결될 때 까지 198년 동안 존속하였던 곳이다. 그 이후 일본인전관거류지로 이어졌다. 초량왜관의 중요 건물들은 용두산을 중심으로 동관과 서관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동관에는 관수왜가, 재판왜가, 개시대청 등의 3대청이, 서관에는 동대청·중대청·서대청의 3대청이 있었다. 각 대청에는 동헌·서헌과 2개의 행랑이 있었다. 1910년 8월 일제에 의한 강점 이후 일본인들의 중심 거주지가 되었고, 1914년 4월 부제실시로 부산부 관할구역이 되면서 광복동은 변천정(辨天町)·금평정(今平町)·서정(西町)·행정 (幸町)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오늘날의 광복동이란 동명은 광복이후 동명 개칭 때 일본인들이 가장 많이 살고 번창한 곳에서 조국의 광복을 맞아 그 뜻을 기린다는 의미에서, 이 지역을 광복동이라 이름 붙여진 것이다. 법정동으로 광복동1,2,3가가 있다. 1956년 시조례로 법정동인 창선동과 신창동을 행정동인 광복동에 포함시켜 관할하고 있으며, 1977년과 1992년 동광동 일부를 광복동에 편입시켜 오늘에 이르고 있다.

부산동별유래 중구1 남포동

초량왜관이 일본인 전관거류지로 바뀌게 되자, 일본인은 그들의 이권을 부산 주변으로 확대시키기 위하여, 왜관 주변을 둘러싼 석벽을 철거해 버렸다. 그리고 일본인은 용두산을 중심으로 한 그들의 이권과 세력을 부평동·대신동·영도 방면으로 확대시켜 갔고, 마침내 영주동과의 사이에 있던 쌍산(雙山=雙岳)을 제거하여 그들의 거류지를 부산의 조선인 거류지와 연결시켰다. 일본인 거류지 확대가 한계에 다다르자 바다를 매축하기 시작하였는데, 북빈(현 북항)매축공사에 이어 남쪽 바닷가도 매축하기 시작하였다. 남항일대의 용두산쪽 바닷가는 자갈돌들이 많아 자갈치로 불리기도 하였는데, 일본인들은 이 지역을 일시적으로 남빈해수욕장 (南濱海水浴場)으로 이용하기도 하였다. 1928년 남빈매축 허가를 얻은 일본인들은 부지 확보외에도 남항일대를 완전한 항만으로 만들기 위한 작업이었다. 지금의 영도대교에서 충무동까지의 모든 해안을 직선으로 매축하여 연안 무역항 및 어염의 기지로 세우고자 한 것이었다. 용두산 아래의 바닷가였던 지역과 매축된 곳을 일제시대에는 남빈정(南濱町)으로 불렸으며, 광복이후 1947년 영도의 남항동과 구별하여 남포동(南浦洞)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 1977년 시조례에 따라 중앙동과 동광동 일부가 편입되었고, 법정동으로 남포동1,2,3가가 있다. 1982년 법정동인 대교동3가와 동광동1가가 편입되었다. 또한 1982년 충무동1,2,3가 를 남포동4,5,6가로 편입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출처 부산시청

부산동별유래 중구1 소개 끝

부산 풀싸롱 부산동별유래 중구1

홈으로

부산 풀싸롱 부산동별유래 중구1

호빠야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